<aside>
🔖
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것은, neurodevelopment를 규명한 후 다음 스텝으로 정한 것이 brain tumor연구라는 점. 꼭 neurological disorder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었다.
그리고 spatial 연구는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 → 연구의 완성도를 확 높인다.
</aside>
Keynote: Futile wound healing drives ‘mesenchymal’ cell states in glioblastoma
**Sten Linnarsson, Karolinska Institute, SE**
여담) 오늘 발표하는 내용 처음 발표하는 거라 함. bioRxiv에도 없음. 요 발표의 논문 언제 나올까?

Development of single-cell omics
- 싱글셀 연구의 역사 흐름 → 15년 이상.
- 시작을 neurotrophic factor 공부로 했다
- support neuron as they deveop + learning, memory.
- brain so complex → 볼 수 있는게 너무 적었어.
- 포닥 안하고 유전자 발현 측정하는 기술 개발하는 회사를 차렸다 → 싱글셀. develop scRNA-seq.

-
2009: 5개정도밖에 보지 못했다. 완전 초창기 개념.
-
2011: 96개정도 세포 봄. Discovery of de novo cell type. Transcriptome → identity.
- 백만개의 세포를 볼 수 있는 미래를 꿈꿨다.
- Single-cell RNA-seq is to find a new “cell type”
- 초창기 single-cell 연구에서 cell line (ES cell, Neuro 2A)을 가지고 cell type 확인 → cell type specific을 확인한 것
- Insensitive. 아직 완전 초기. Bulk만큼 sensitive하게 하고싶었음 → cell은 bulk만큼 molecule이 많지 않으니 당연하긴 함. 그때는 dropout에 실망했다. 그래도 Transcriptome을 보면서 누가 누군지 알 수 있어서 기뻤다.
- “Identity dominates the signal in transcriptome.”
-
2023: Siletti et al → adult human brain atlas (with Ed Lein) / Braun et al → 1st trim. single-cell RNA-seq atlas 등. human brain deveopment → initial repertoire or neuronal cell types.
-
2024: Mannes et al. Chromatin accessibility atlas.
-
지금은 어떤 연구를?
Glioblastoma - Mystery of Tousseu’s sign
- Physician. Paris 병원. 중요한 clinical sign을 발견: OSE sign.
- 환자가 살아있으면 body inside를 볼 방법이 없다. external signal을 보는 것이 중요.
- 이거는 blood clot을 찾음 → 특별한 이유 없이 붓는다: undiscovered tumor의 sign일수도.
- 이유는 모르지만 cancer (neuroblastoma) 특히 blood coagulation이 많이 발견되었음.
- Glibolastoma → blood coagulation이 특징.
